TopologyKey 를 “node”로 변경해서 파드가 영역이 아닌, 노드에 걸쳐 고르게 분산할 수 있게 한다.
Change topologyKey to“node” so as to distribute the Pods evenly across nodes instead of zones.
이 예제는 파드가 subPathExpr 을 사용해서 Downward API로부터 파드 이름을 사용해서 hostPath 볼륨 /var/log/pods 내에 pod1 디렉터리를 생성한다.
In this example, a Pod uses subPathExpr to create a directory pod1 within the hostPath volume/var/log/pods, using the pod name from the Downward API.
Kubectl get pods -o wide 를 실행해서 파드가 할당된 “NODE” 를 보면 작동하는지 검증할 수 있다.
You can verify that it worked by running kubectl get pods-o wide and looking at the“NODE” that the pod was assigned to.
그러나, 만약 파드가 restartPolicy을 절대 하지 않음(Never)으로 설정한다면, 파드는 재시작되지 않는다.
However, if the Pod has a restartPolicy of Never, it is not restarted.
이 패턴은 파드가 다른 작업을 수행하도록 배열하는 다른 방법이다.
These patterns are different ways to arrange for pods to work on different things.
NodeSelector 와 nodeAffinity 를 모두 지정한다면 파드가 후보 노드에 스케줄 되기 위해서는 둘 다 반드시 만족해야 한다.
If you specify both nodeSelector and nodeAffinity, both must be satisfied for the pod to be scheduled onto a candidate node.
사용자가 kubectl describe pod FooPodName 을 호출하면 사용자는 파드가 pending 상태에 있는 이유를 볼 수 있다.
If user calls kubectl describe pod FooPodName, user can see the reason why the pod is in pending state.
파드에 스케일링 작업을 적용하기 전에 모든 선행 파드가 Running 및 Ready 상태여야 한다.
Before a scaling operation is applied to a Pod, all of its predecessors must be Running and Ready.
보장된 생애 공유, 관리의 단순화와 같은 파드가 가진 대부분의 장점을 제공하지 못한다.
would not provide most of the benefits of pods, such as resource sharing, IPC, guaranteed fate sharing, and simplified management.
이후, HorizontalPodAutoscaler는 각 파드가 요청 된 약 50%의 CPU 사용률을 소모하는지, 초당 1000 패킷을 처리하는지, 메인-루트 인그레스 뒤의
Then, your HorizontalPodAutoscaler would attempt to ensure that each pod was consuming roughly 50% of its requested CPU, serving 1000 packets per second,
이 경우, 한 개의 파드가 단일 컨테이너를 감싸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가 아닌 파드를 직접 관리한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case, you can think of a Pod as a wrapper around a single container and Kubernetes manages the Pod rather than the containers directly.
레플리카가 증가 또는 감소한 경우 또는 파드가 정상적으로 종료되고 교체가 일찍 시작되는 경우라면 언제든지 실행중인 수가 더 높거나 낮을 수 있다.
The number running at any time may be higher or lower, such as if the replicas were just increased or decreased, or if a pod is gracefully shutdown, and a replacement starts early.
톨러레이션은 매칭되는 테인트(taints)세 가지 필수 속성: 키(key), 값(value), 효과(effect)로 구성된 코어 오브젝트. 테인트는 파드가 노드나 노드 그룹에 스케줄링되는 것을 방지한다.
Tolerations enable the scheduling of pods on nodes or node groups that have matching taintsA core object consisting of three required properties: key, value, and effect.
새 파드가 준비되면 기존 레플리카셋을 스케일 다운할 수 있으며,
Once new Pods are ready, old ReplicaSet can be scaled down further,
Web-1 파드가 Running과 Ready 상태가 되기까지 기다리자.
Wait for the web-1 Pod to be Running and Ready.
Kube-proxy가 iptables 모드에서 실행 중이고 선택된 첫 번째 파드가 응답하지 않으면, 연결이 실패한다.
If kube-proxy is running in iptables mode and the first Pod that's selected does not respond, the connection fails.
Yaml로 저장한 다음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적용하면 CPU 사용량에 따라 파드가 복제되는 오토스케일 레플리카 셋 HPA가 생성된다.
Yaml and submitting it to a Kubernetes cluster should create the defined HPA that autoscales the target ReplicaSet depending on the CPU usage of the replicated Pods.
쿠버네티스 1.6을 시작으로 NodeController는 파드가 taint를 허용하지 않을 때,
Starting in Kubernetes 1.6, the NodeController is also responsible for evicting pods that are running on nodes with NoExecute taints,
Eviction API는 한 번에 2개의 파드가 아닌, 1개의 파드의 자발적인 중단을 허용한다.
4 at a time, then the Eviction API will allow voluntary disruption of one, but not two pods, at a time.
English
عربى
Български
বাংলা
Český
Dansk
Deutsch
Ελληνικά
Español
Suomi
Français
עִברִית
हिंदी
Hrvatski
Magyar
Bahasa indonesia
Italiano
日本語
Қазақ
മലയാളം
मराठी
Bahasa malay
Nederlands
Norsk
Polski
Português
Română
Русский
Slovenský
Slovenski
Српски
Svenska
தமிழ்
తెలుగు
ไทย
Tagalog
Turkce
Українська
اردو
Tiếng việt
中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