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핵화 (bihaeghwa) in English translation

denuclearization
비핵화
denuclearization of
to denuclearize
비핵화
denuclearisation
비핵화

Examples of using 비핵화 in Korean and their translations into English

{-}
  • Colloquial category close
  • Ecclesiastic category close
  • Ecclesiastic category close
  • Programming category close
  • Computer category close
사실, 4.27 판문점 선언과 6.12 싱가포르 합의, 9월 평양선언 등으로 북한 비핵화 과정이 앞으로 나갈 것만 같았던 것은 착시현상이었을 뿐, 북한의 입장이 근본적으로 변한 것은 없습니다.
In reality, it was only an optical illusion that the process of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seemed to be going forward with the Panmunjom Declaration on April 27, the Singapore Agreement on June 12, and the September Pyongyang Declaration.
일부 전문가들은 2018년 6월 비핵화 선언의 네 조항을 실행하는 순서와 범위에 대해 북한과 미국의 견해가 다르다고 말한다.
Some experts say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have different views of the order and scope of implementing four articles of the June 2018 declaration to denuclearize.
양측이 비핵화 회담을 재개하기로 합의했지만, 모든 당사국들은 신뢰를 구축하고 동력을 만들어내기 위해 상호 양보에 바탕을
Although both agreed to restart denuclearisation talks, all parties will now need to work toward realistic goals based on mutual concessions to build confidence
그 관료들은 또한 북한이 정확하지 않거나 진실이 아닌 초기 비핵화 선언을 할 가능성이 높지만,
The officials also say North Korea is likely to make some initial denuclearization declarations that won't be accurate
북한이 비핵화에 반드시 합의해야 한다면, 이는 성공하기 어려울 것이다; 김정은 위원장은 희생에
This would be difficult to pull off if North Korea had to agree to denuclearize on the front end;
세 차례 회담을 가졌는데, 이 자리에서 두 사람은 비핵화에 대한 모호한 성명서에 서명했다.
landmark summit in Singapore in June 2018, where the two men signed a vague statement on denuclearisation.
이런 미국의 두가 지 우선순위 - 북한의 비핵화 및 정권교체 - 에 관한 희소식은 두가 지 전부에 관해 다자 적인 지지, 특히 중국의 지지가 있다는 점이다.
The good news about these two American priorities-- denuclearization and regime change in North Korea-- is that there is broad multilateral support for both, most importantly even from China.
북한이 최근 들어 제재 완화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음에도 미국은 결정적인 비핵화 조치 전에는 제재를 완화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한 것이다.
Despite North Korea's strong demands for the loosening of sanctions recently, the US has clarified that it has no intention to consider such measures until the country takes decisive measures to denuclearize.
그러나, 문제는 미국이 궁극적으로 그리고 유일하게 관심을 갖고 있는 비핵화 문제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이 어디까지 밀어붙일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However, the question is how far he can push for on the denuclearisation issue which is what the US ultimately and solely interested in.
우리는 막 북한의 비핵화 과정을 시작할 것이고 그(김정은)는 돌아가서 사실상 바로 비핵화를 시작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I just think that we are now going to start the process of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and I believe that he's going back and will start it virtually immediately.”.
평양 지하철역에서 노동신문을 보는 북한 주민들. /사진=데일리NK 자료사진 북한의 최근 비핵화 합의 움직임에 대해 북한 주민들 사이에서 부정적인 기류가 확산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North Korean residents reading the Rodong Sinmun at a subway station in Pyongyang/ Image: Daily NK photo archive North Korea's recent signing of a denuclearization agreement is said to be spreading negative sentiment among North Koreans.
북미정상회담 직후 한국을 방문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2021년 1월)가 끝나기 전에 북한의 주요 비핵화 조치를 달성하길 바란다"고 밝혔던 것과도 달라진 태도다.
This is in stark contrast to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o's statement after the U. S- North Korea summit,"We are hoping to achieve important steps towards denuclearization before the end of Trump's first presidential term in 2021.".
김정은이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뭔가 해결할 것처럼 했지만 이제는 북한 비핵화 과정이 장기전으로 들어서고 있습니다.
It may seem that Kim Jong Un is solving something in his talks with President Moon and President Trump, but the process of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is entering an elongated war.
지금 세계는 앞으로 있게 될 남북정상회담이 현재 교착상태에 있는 북한의 비핵화 문제를 어떻게 추진시켜 나가겠는가에 초점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Right now the world is focusing on how the inter-Korean summit will push forward the issue of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which is currently in a stalemate.
예측불가의 트럼프 대통령이라면 응할 가능성도 없지 않지만 북한이 요구하는 제재 해제나 안전 보장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없이는 불가능하다.
Unpredictable Trump might accept North Korea's proposal, but sanctions relief and security guarantees cannot be provided without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정책을 중단할 것과 이제는 그들의 비핵화 약속을 이행하고 국제법에 따르는 단계를 밟을 것을 요구한다.
its policy of threats and belligerence toward its neighbors, and take steps now to fulfill its denuclearization commitments, and comply with international law.
남과 북은 4.27 판문점 선언이 있은 지 6개월이 지났으나 북한의 비핵화에서 실질적인 진전은 커녕 '비핵화'에 대한 정의에 대해서도 합의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Six months have passed since the April 27 Panmunjom Declaration. But there has been no substantial progress in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and North and South Korea have not even agreed on the definition of"denuclearization.".
지난 5일 북한 김정은이 대북특사단을 만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남은 임기 내에 비핵화 문제를 해결하고 싶으며 종전선언이 채택된 후에도 주한 미군이 남아있어도 된다고 언급했다고 합니다.
On September 5, Kim Jong Un met with the special envoy of the South Korean President and said he would like to resolve the issue of denuclearization within the remaining term of President Trump.
JCPOA가 비핵화 문제를 다루지 않은 한 가지 이유는 중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One reason why the JCPOA did not cover non-nuclear issues is that several other partners
년 제네바 기본합의 이래 북한의 비핵화와 이에 따른 경제적,
Since the Geneva Agreed Framework in 1994,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Results: 110, Time: 0.0641

Top dictionary queries

Korean -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