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민테른 (kominteleun) in English translation

comintern
코민테른
CI
communist international
공산주의 인터내셔널
코민테른
공산주의자 국제
공산주의 국제
코뮤니스트 인터내셔널 은

Examples of using 코민테른 in Korean and their translations into English

{-}
  • Colloquial category close
  • Ecclesiastic category close
  • Ecclesiastic category close
  • Programming category close
  • Computer category close
그러나 이 유일하게 가능한 길은 코민테른 관료들에게는 너무 멀고 불확실하게 보였다.
This only possible road, however, appeared too long and uncertain to the bureaucrats of the CI.
코민테른의 가장 소중한 공헌은 국가에 대한 혁명적 프롤레타리아트의 태도에 대한 것이다.
The CI's most precious contribution is on the revolutionary proletariat's attitude to the state.
이 슬로건을 코민테른의 강령에 도입하는 것은 마르크스주의와 볼셰비즘의 10월 혁명 전통에 대한 직접적 배반이다.
The introduction of this slogan into the programme of the Comintern is a direct betrayal of Marxism and of the October tradition of Bolshevism.
트로츠키는 브랜들러를 희생양삼는 것에 반대했는데 이것은 정치적 연대때문이 아니라 코민테른 지도부 또한 공범이었고 피셔와 마슬로브가 더 낫지도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Trotsky opposed scapegoating Brandler, not out of political solidarity, but because he knew the Comintern leadership was also complicit and that Fischer and Maslow were no better.
그러나 이러한 수많은 개입의 뒤에는 코민테른이 자본주의 생명에서 새로운 시기와 그에 따른 계급투쟁이 시작됐다는 이해의 깊이가 충분하지 않았다는 KAPD의 주장이 있었다.
But behind many of these interventions was the KAPD's insistence that the CI was not going deep enough in its understanding that a new period in the life of capitalism and thus in the class struggle had opened up.
추방 등에도 불구하고 트로츠키는 코민테른 개혁을 철썩 같이 주장해왔다.
even exile and deportation, Trotsky held adamantly to his course of reforming the Comintern.
독일 당의 불길한 의회주의자들의 강세를 바로잡기 위한 KPD(혹은 코민테른) 내부의 진정한 논의는 결코 없었으며 KPD는 1923년의 결정적인 사태에서 무장해제당하게 되었다.
There was never a real discussion inside the KPD(or CI) to correct the ominous parliamentarist bulge of the German party, and the KPD went into the critical events of 1923 politically disarmed.
강력한 본보기를 보여 주었고, 수많은 노동자들을 포괄하는 정당들(코민테른의 지부들)을 적극적으로 조직했다.
they had set a powerful example and actively organized parties embracing hundreds of thousands of workers(the sections of the Communist International).
이 당시 트로츠키주의자들은 공산당이 아직도 혁명을 주도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으며 자신들의 조직인 국제좌익반대파(International Left Opposition)를 코민테른 내부의 분파로 간주했다.
At this time the Trotskyists believed that the Communist Party still had a revolutionary potential and therefore characterised their own organisation, the International Left Opposition, as merely a faction of the Comintern.
트로츠키와 좌익공산주의(독일-네덜란드 공산주의자 포함)의 모든 경향은 이러한 입장을 반역으로 보았으며 이태리 좌파 Bilan은 그것을 코민테른의 죽음으로 보았다.
Trotsky and all the tendencies of the Communist Left(including the German-Dutch communists) considered this position as treason and the Italian Left group Bilan saw it as the death of the Communist International.
그동안 레닌은 첫번째 발작으로 앓고 있었고 독일에게 더욱 좋지 않게도 라데크와 지노비에프가 독일에서의 코민테른 주요 집행자가 되었다.
In the interim, Lenin had suffered his first stroke, and the main Comintern operatives in Germany became Radek and Zinoviev, much to the detriment of the KPD.
그러나 독일/오스트리아 사민주의의 논란의 여지없는 파산을 보여주는 과정에서 스탈린주의자들은 하나의 질문에 대답하는 것을 잊어버렸다: 코민테른의 독일과 오스트리아 지부는 어떻게 되었는가?
But in showing the incontestable bankruptcy of the Social Democracy in Germany and Austria, the Stalinists forgot to reply to one question: what became of the German and Austrian sections of the Communist International?
전후 회복의 첫 번째 징후를 분석하면서 트로츠키의 “세계 경제 위기에 대한 보고와 코민테른의 새로운 임무”는 다음과 같이 문제를 제기한다.
Analysing the first signs of a post-war recovery, Trotsky's“Report on the World Economic Crisis and the New Tasks of the Communist International” posed the question as follows.
자본주의를 전복하지 않고는 이러한 강도 같은 전쟁의 반복이 가능할 뿐 아니라 불가피함을 기억하라” (2차 대회에서 채택한 코민테른의 문건, 제인 데그라스, 「코민테른 1919-43: 문헌집」).
Remember that without the overthrow of capitalism the repetition of such robber wars is not only possible but inevitable"(Statutes of the Communist International, adopted at the 2nd Congress, in Jane Degras, The Communist International 1919-43: Documents).
코민테른, 그 중에서도 특히 지노비에프와 라데크,
The Comintern, notably Zinoviev and Radek,
그런데 설상가상으로 이후 몇 달 동안 코민테른 집행위원회는 강력한 독일 노동운동이 파시스트들에 의해서 무참히 압살된 책임을 인정하기는커녕 거대한 재앙을 가져온 정책의 올바름을 재확인하였다.
And in the months that followed, the executive committee of the Comintern, refusing to acknowledge any responsibility for the fascist annihilation of the powerful German workers' movement, unanimously reaffirmed the policies that had produced the German catastrophe.
그러나 1933년 독일에서 파시즘의 승리를 초래한 코민테른의 종파주의적이고 패배주의적인 "제 3기" 정책은 좌익반대파에게 혁명전망의 근본적 변화를 강요했다.
The sectarian-defeatist"Third-Period" policies of the Comintern which led to the victory of fascism in Germany in 1933 forced the Left Opposition to adopt a radical change in its perspective.
새 강령의 주요 작성자는 물론 코민테른의 지금 "지도자" 벨라 쿤이다. 그는 매일 매일 모험주의에서 기회주의로 더 깊이 미끄러지고 있다.
The first author of the new program is, no doubt, the present"leader" of the Comintern, Béla Kun, who goes day by day further on the road from adventurism to opportunism.
코민테른에 가맹되어 있으면서도, 세라티 하의 이탈리이 지도부는 21가지 가맹국 조건 - 개량주의와의 결별의 필요성 - 을 수용하는 것을 거부했었다.
While adhering to the Comintern, the Italian leadership under Serrati had refused to accept the twenty-first condition of membership- the need for a break with the reformists. Levi had stood with Serrati.
개량주의적 사기꾼과 코민테른으로 이끌리고 있던 우연적 중도주의 인자들을 걸러내기 위하여, 가입을 원하는 모든 정당들에 대하여 일련의 조건들이 부과되었다.
To sift through the reformist posturers and the accidental centrist elements gravitating toward the Comintern a set of conditions was imposed on all parties seeking affiliation.
Results: 124, Time: 0.0627

Top dictionary queries

Korean - English